일드 커브 컨트롤(YCC)이 무엇인지,
채권 수익률을 제한하려는 이유와
YCC의 실행 사례,
YCC 정책의 부작용과 한계점 등에 대해서 정리해 봤습니다.
코로나19(COVID-19) 대유행으로 인한 경기 침체로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일제히 과감한 부양 정책들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최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가 ‘수익률곡선관리(Yield Curve
Control)’ 정책을 검토했다고 밝혀 주목을 받고 있는데요.
일드 커브 컨트롤 이란?
쉽게 말하자면,
일드커브컨트롤(YCC, Yield Curve Control)은 중장기 국채의 금리 상하한을 정해놓는 것입니다.
하지만 시중 금리와 수요, 공급에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는 채권 수익률을 어떻게 고정할 수 있을까요?
그 방법은 바로,
연준에서 채권의 수익 목표치에 맞춰 채권 공급량을 인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가능합니다.
정부가 시장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경기부양책이죠.
채권 금리가 정해지는 원리
앞서 이야기한 것 처럼 신규 채권 금리는 시중 금리를 따라가게 됩니다. 발행당시 원금과 이자율이 확정된 채권의 가격이 계속 변하는 건 수요, 공급에 의한 현상입니다. 당연히 신규 발행 채권의 예상 수익률이 이미 발행된 장기채의 수익률보다 높아야 국채가 팔리겠죠.
“원금과 이자”
그럼 연준에서 채권 수익률의 상하한을 정하려고 하는 이유를 알아볼까요?
상한을 정하는 이유
채권 수익률의 상단만 제한하는 정책을 가르켜 일드캡(Yield Cap) 이라고 합니다. 채권 수익률의 계속 올라가는 것을 막아야 하는 이유는 이자부담 때문입니다.
정부가 국채를 계속 찍어내야 하는 상황에서 채권가격이 계속 오... [원문 전체보기]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물가연동채(TIPS) 투자 총정리 (0) | 2020.07.31 |
---|---|
GLD ETF(금 이티에프) 특징 핵심정리 (0) | 2020.07.29 |
VTI ETF(이티에프) 특징 핵심정리 (0) | 2020.07.10 |
DBC ETF(이티에프) 특징 핵심정리 (0) | 2020.07.10 |
VT ETF(이티에프) 특징 총정리 (0) | 2020.07.08 |